YAML
-
ERROR: Couldn't connect to Docker daemon at http+docker://localhost - is it running?If it's at a non-standard location, specify the URL with the DOCKER_HOST environment variable.Backend/Docker 2023. 8. 2. 10:07
필자는 위와 같은 오류를 만난 적이 있다. 물론 그 전에 docker-compose.yml 파일에서 command를 따로 기입하지 않았거나, 타입 에러 (아마 설명을 적어 놓는다는게, 주석 처리랍시고 문자열을 사용해서 그런듯 하다.) 무튼 위와 같은 오류를 만났을 때는 어떻게 하면 좋을지? -> 검색 해본 결과, docker 서비스를 시작해주면 된다! 아래 2개의 명령어를 입력할 것! $ sudo service docker start $ sudo docker-compose up 그러면 아래와 같이 실행되는 것을 볼 수 있다!
-
쿠버네티스 - yaml 템플릿 만들고 편리하게 써보기!Kubernetes/kubectl 시작 2023. 6. 8. 15:55
입문자에게 있어서, yaml 템플릿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것 같음! - 필자 생각 그렇다면 yaml 템플릿과 친해져 보도록 하자 [yaml 템플릿] -> 띄어쓰기가 가장 중요!!!!!! 사람이 쉽게 읽을 수 있는 데이터 직렬화 양식 기본 문법 구조화된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 포맷 python 처럼 들여쓰기로 데이터 계층을 표기 가독성이 좋아 설정 일에 적합한 형식 scalar 문법 : ‘.’을 기준으로 key : value를 설정 배열 문법 : ‘-’ 문자로 여러 개를 나열 공식사이트 : http://yaml.org/ The Official YAML Web Site yaml.org kubernetes yaml example -> $ cat nginx-pod.yaml (yaml 파일 보는 명령어) 그..
-
쿠버네티스 - 네임스페이스 SwithchKubernetes/kubectl 시작 2023. 6. 8. 14:57
기본으로 사용하는 namespace를 defaul가 아닌 다른 이름의 namespace로 switch 하는 방법 방법 및 순서 1.namespace를 포함한 context 등록 $ kubectl config —help$ kubectl config view 2. 등록된 namespace로 context 변경 $ ,kubectl config use-context NAME $ kubectl config set-context NAME —cluster=kubernetes → 먼저 쿠버네티스에 config에 네임스페이스 등록 → context 즉, 환경을 바꿔가며 클러스터를 관리할 수 있는 기능 = context 먼저 앞서 config 정보 볼 것! 1. config 정보 보기 2. 현재 등록된 config 확인하..
-
쿠버네티스 - 컨테이너 동작 flow & 구성 요소 & 크기 단위 비교Kubernetes/kubectl 시작 2023. 6. 8. 13:59
쿠버네티스에서 컨테이너 동작 Flow ! 동작 flow는 이성미 강사님의 강의를 들으면서 직접 똑같이 그려보았늩데, 필자는 그리면서 좀 더 와 닿게 된 거 같다! 시간이 난다면 직접 손으로 그려보는 것을 추천함! 순서에 따라 한번 읽어 보고, 이런 흐름을 가지고 있구나 라고 생각하면 좋을 것 같음! 1. 쿠버네티스 구성 요소 1-1. 노드(node) 란? 클러스터 내 가상 섭, 즉 컴퓨팅 엔진 단위 마스너 노드와 워커 노드로 분리되어 있음 마스터 노드 : 전체 쿠버네티스 시스템을 관리 및 통제하는 쿠버네티스 컨트롤 플레인을 관장 워커 노드 : 배포하고자 하는 오플리케이션의 실제 실행을 수행 마스터 노드가 죽으면 클러스터를 관리할 노드가 없기에, 일반적으로 3개 정도의 마스터 노드를 띄어 노드를 관리함.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