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쿠버네티스 파드 관리 및 수정하기Kubernetes/kubectl 시작 2023. 6. 9. 11:19
연습하면서, 파드를 너무 많이 만들거나, 관리가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.
파드에 대한 정보를 보고, 수정 혹은 관리 법을 간단히 정리했다.
- 동작 중인 파드 정보 보기
1. kubectl get pods
2. kubectl get pods -o wide
3. kubectl describe pod [pod네임]
4. kubectl get pods --all-namespace
- 동작 중인 파드 수정
kubectl edit pod webserver
[파드 수정에 대한 예시]
1. yaml 파일을 만들 때, 잘 만들어 질 수 있는 지 확인하는 명령어 : --dry-run 사용
kubectl run redis --image=redis123 --dry-run -o yaml
-> 이렇게 하면 미리보기 + redis 를 이용한 yaml 템플릿이 생성됨
2. 최종적으로 kubectl run redis --image=redis123 --dry-run -o yaml > redis.yaml
위의 명령어를 치면, 바로 run으로 실행됨
하지만 status 에서 error가 난것을 볼 수 있음
그 이유는 image에서 redis123이라는 것은 없기 때문
3. image=redis로 변경해준다. 즉 오류난 원인을 파악하여 수정함
이때, kubectl edit pod redis
한 후, vi 편집기가 등장 -> 이미지 이름 편집
4. kubectl get pods 실행
실행 후, status running이면 성공적으로 변경 및 실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음!
'Kubernetes > kubectl 시작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쿠버네티스 self-healing-pod 실제 구현하기 (0) 2023.07.13 쿠버네티스 - self-healing pod 만들기 (0) 2023.07.12 쿠버네티스 파드 삭제 (0) 2023.06.09 쿠버네티스 로그 알아보기 (3) 2023.06.09 쿠버네티스 multi-container pod 생성하기 (0) 2023.06.0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