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ka
-
쿠버네티스에서 static pod 만들기 - cka 시험에서 자주 출제됨!Kubernetes/kubectl 시작 2023. 8. 6. 20:38
조금 늦은 쿠버네티스 공부 했던 부분을 올려보도록 하겠다. init container에 대해 공부하던 도중, static pod에 대해서도 알게 되었다. cka에도 자주 출제된다고 하니 ★기억하도록★ 정의, static pod란? - kubelet Daemon에 의해 동작되는 pod - API 서버 없이 특정 노드에 있는 kubelet 데몬에 의해서 직접 관리 - etc/kubernetes/manifests/ 디렉토리에 k8s yaml 파일을 생성 및 저장시 자동 적용 위의 내용으로만 이해할 수 없으니, 직접 적용해보도록 하겠다. node1 or node2에 들어가서 cat etc/lib/var/lib/kubernetes/config.yaml ->로 들어가서 일단 구성 되어 있는지 확인! -> 위의 위치..
-
쿠버네티스 - init container만들기Kubernetes/kubectl 시작 2023. 7. 13. 20:58
이번에는 init container에 대해 알아보자 init container란? → init container가 성공 하면 main container를 실행함! init container란? 앱 컨테이너 실행 전에 미리 동작 시킬 컨테이너 본 container가 실행되기 전에 사전 작업이 필요할 경우 사용 초기화 컨테이너가 모두 실행된 후에 앱 컨테이너를 실행 초기화 컨테이너와 일반 컨테이너 차이점! 초기화 컨테이너는 항상 완료를 목표로 실행됨 각 초기화 컨테이너는 다음 초기화 컨테이너가 시작되기 전에 성공적으로 완료되어야 함. → 만약 파드의 초기화 컨테이너가 실패 → kubelet은 초기화 컨테이너가 성공할 때 까지 반복적으로 재시작함 아래 도메인을 이용하여 컨테이너 예시를 사용해보자! https:..